은행 6% 금리와 정부 지원금을 받으면 최대 9% 정도의 혜택을 받게 되는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공유해 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만큼 단점을 확인해야 되는 상품입니다.
우선 각 은행에서 제시하는 우대 조건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본인이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는지 반드시 체크해야 됩니다.
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우대조건, 신청 기간 및 방법, 정부 지원금액 등 전체적인 모든 정보를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.
글 순서 요약

1. 청년도약계좌 조건/가입자격
가입대상은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됩니다.
- 가입일 현재 만 19세 ~ 만 34세 이하
병적증명서를 통해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분들은 6년을 한도로 병역을 이행한 기간을 현재 나이에서 빼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소득 기준
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,500만 원 이하,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인 경우 해당됩니다.
-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
가입 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가구 소득 250% 이하
직전 과세기간의 가구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.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250% |
1인 | 58,344,360 |
2인 | 97,802,550 |
3인 | 125,841,030 |
4인 | 153,632,400 |
5인 | 180,735,450 |
6인 | 207,210,120 |
7인 | 233,417,760 |
2. 계약 기간 및 한도
- 계약 기간 5년
5년을 만기로 채워야지만 이자 비과세 및 정부 지원금 혜택을 적용받아 최대 9% 정도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- 납입 가능 한도
구분 | 내용 |
신규 금액 | 최소 1천 원 이상 |
납입 한도 | 매달 70만 원 이하 |
연간 한도 | 840만 원 |
3. 국민은행 우대금리 조건

- 기본 금리 : 연 4.5%
다만 5년 동안 4.5%가 고정되는 것이 아닌, 최초 3년 이후 당시 금리에 따라 더 인하가 될 수도 있는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- 우대 항목
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 최고 연 1.5%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1. 급여이체 : 연 0.6%
적금 신규 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건별 50만 원 이상의 급여이체 실적이 36회 이상인 경우 해당됩니다.
2. 자동납부 : 연 0.3%
적금 신규 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본인 명의 당행 입출금 통장에서 월 2건 공과금 자동이체 월수 36회 이상 또는 청년 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가 36회 이상일 때 충족됩니다.
3. 거래 감사 : 연 0.1%
계약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 KB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이 해당됩니다.
4. 소득 플러스 : 최고 연 0.5% p
가입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을 충족하는 경우 횟수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5회 : 0.5% / 4회 : 0.4% / 3회 : 0.3% / 2회 : 0.2% / 1회 : 0.1%
이처럼 우대 항목이 까다롭기 때문에 반드시 본인이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는지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.
4.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
정부 기여금은 개인별 소득과 납입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

예를 들어 본인의 총 급여가 연간 2,400만 원 이하이면서 매달 40만 원을 납입한다면 정부 기여금 23,000원을 제공받는 개념입니다.
다만, 본인의 소득이 올라갈수록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감소합니다.
5. 신청 기간 및 접수 방법
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원하는 취급은행에서 정해진 날짜에 신청을 하면, 서민금융진흥원에서 2주 정도 가입 심사가 진행됩니다.
- 5월 기간
5월 접수일은 2024년 5월 2일 ~ 2024년 5월 10일이고, 신청한 고객 중 가입 심사를 통과한다면 가구 기준에 따라 적금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.
1인 가구인 경우 : 2024.05.17 ~ 2024.06.07
2인 가구 이상 : 2024.05.28 ~ 2024.06.07
이처럼 매달 정해진 날짜에 신청한 후, 적금을 개설하는 게 중요합니다.
5년 만기 시 정부 기여금 및 이자 비과세 혜택은 좋지만, 우대 요건을 충족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됩니다.
이처럼 각 장단점을 비교하셔서 가입하시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>추가로 청년도약계좌 신한/농협/우리/기업은행 우대금리 조건을 한눈에 확인하고 싶은 분들은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