케이뱅크 파킹통장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생활통장과 플러스박스 정보를 비교 정리해 보겠습니다.
- 어떤 상품이 더 좋을까?
두 상품은 모두 파킹통장이지만 적용금리나 이자 지급 방식이 모두 다릅니다.
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케이뱅크 생활통장과 플러스박스 상품의 각 장단점, 혜택, 이자 지급 방식, 개설 방법 등 전체적인 모든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글 순서 요약

1. 케이뱅크 파킹통장 생활통장 금리
- 생활통장 적용 금리
우대 조건 없이 예치한 금액에 따라 차등으로 적용됩니다.
구분 | 연% |
300만 원 이하 | 2.00% |
300만 원 초과 | 0.10% |
기존에는 300만 원 이하분에 대해 연 3.00% 이율을 제공해 줬지만 최근 2.00% 바뀌면서 큰 매력이 없다고 생각됩니다.
2. 케이뱅크 생활통장 이자 후기
- 생활통장 수수료 혜택
당행/타행 이체 무료, 당행/타행 자동이체 무료와 전국 은행 및 GS25 편의점에서 ATM 입출금 수수료 무료가 적용됩니다.
- 이자 지급일 : 매월 1회
금리가 높은 것도 아니며, 인터넷 은행의 장점인 매일 이자 지급 방식도 아니기 때문에 아쉽다고 생각됩니다.
- 특징 요약
만 17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상품입니다.
- 정리하며
다른 1금융권에서도 충분히 3% 이율을 적용 받을 수 있는 상품이 많기에 생활통장은 추천하기 애매한 거 같습니다.
현재 1금융권 최고 이율은 광주은행 365 파킹 통장이고 3.50%와 매주 1회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조건

- 가입 대상
케이뱅크 입출금 계좌를 보유한 개인이 1인 최대 10계좌까지 개설할 수 있습니다.
플러스박스는 케이뱅크 입출금 계좌가 없다면 만들 수 없는 상품이고, 앞서 살펴본 생활통장이나 다른 입출금 계좌가 있다면 만들 수 있습니다.
- 거래 방법
연결된 계좌를 통해서만 입출금을 할 수 있고, 그 외의 다른 입출금 방식은 모두 제한됩니다.
예를 들어 카드 결제, 급여이체, 등 결제성 계좌이체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.
즉, 연결된 계좌를 통해서만 입금/출금을 할 수 있는 개인 금고 같은 개념입니다.
또한 10계좌 모두 합산하여 최대 10억 원까지 보관할 수 있습니다.
4.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금리 이자
- 적용 금리
연 2.30%가 적용되고 플러스 박스의 장점은 매일 이자 받기를 통해 일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- 이자 지급 방식
앞서 살펴본 대로 매일 받기를 누르면 당일에 지급되지만, 매일 받기를 누르기가 귀찮은 분들은 매월 넷째 주 토요일에 일괄 지급되고 있습니다.
이처럼 생활통장 보다 높은 금리와 매일 이자 받기도 가능하기에 여러 장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.
- 개설 방법
케이뱅크 전용 앱을 실행한 후 예적금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상품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고 개설할 수 있습니다.
5. 케이뱅크 파킹통장 금리 비교 정리
타 인터넷 은행과는 금리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.
구분 | 연 이율% |
케이뱅크 | 2.3% |
토스 뱅크 | 2.0% |
카카오 뱅크 | 2.0% |
인터넷 은행 중에서는 확실히 케이뱅크 플러스박스가 가장 높은 이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- 1금융권 이자 지급 방식
1금융권 은행 파킹 통장의 이자 지급 방식은 대부분 매월 1회 지급하고 있으며 광주은행만 매주 토요일에 1회 지급하고 있습니다.
- 2금융권 이자 지급 방식
저축은행의 경우 가장 높은 이율을 제공하지만 분기에 1회 지급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단순히 이율이 높다고 선택하기보다는 세부 조건을 비교해 보면 좋다고 생각됩니다.
- 정리하며
지금까지 케이뱅크 생활통장과 플러스박스의 정보를 비교해 봤습니다.
>추가로 이자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을 받으면 최대 9% 정도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국민은행 청년 도약 계좌 조건 및 신청 기간이 궁금한 분들은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